메모리 부족 이슈 발생시 볼만하다는 소리를 듣고 찾아보게 되었습니다. temporary tablespace는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create ~문 등을 사용해 임시 테이블을 생성할 때 undo 로그가 저장된다고 합니다. ■ Temp tablespace ibtmp1 : global temporary tablespace 공간은 사용자가 생성한 임시 테이블의 롤백 세그먼트를 저장합니다. innodb_temp_tablespace_dir : SESSION LEVEL로 ON-DISK 내부 임시테이블이 생성되는 공간 [사용자가 만든 임시 테이블 & 옵티마이저가 사용하는 임시 테이블 ] MariaDB [(none)]> show variables like '%temp%'; +-------------------------..
Error 2013 ■ 에러 발생 데이터 이관 중 export시 발생 [root@localhost data]# mysqldump -u kim-p --routines --triggers --single-transaction kim --events > /dump/dump.sql mysqldump: Error 2013: Lost connection to MySQL server during query when dumping table `***` at row: 167770 ■ 발생 이유 2013은 서버 연결이 끊어 졌음을 의미 1. 누군가 세션을 kill하여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네트워크 문제로 인해 연결이 끊어져서 발생 할 수 있습니다. 3. 서버 내 충돌이 일어나 끊길 수 있습니다. 4. 연결이 유휴 상..
■ QPS ( Query Per Seconds ) 초당 Query량 즉, MySQL Server가 초당 실행하는 Query 총량을 말합니다. 조회량 /초 는 한서버가 1초에 해당하는 조회 횟수로 특정한 조회 서버가 규정된 시간 내에 처리하는 조회량이 얼마인지에 대한 평가 기준입니다. ※ 계산 방법 Questions = SHOW GLOBAL STATUS LIKE 'Questions'; Uptime = SHOW GLOBAL STATUS LIKE 'Uptime'; QPS=Questions/Uptime MariaDB [(none)]> SHOW GLOBAL STATUS LIKE 'Questions'; +---------------+------------+ | Variable_name | Value | +-----..
Character Set이란, 캐릭터 셋을 명시적으로 설정하지 않으면 MySQL 5.7 이하는 latin1, MySQL 8은 utf8mb4 가 된다. 현재 character set 확인은 다음과 같이 mysql 클라이언트로 연결한 후에 status 명령어로 알수 있다. 문자의 집합으로 즉, 텍스트 데이터에 대한 저장공간의 크기를 지정하기 위함이다. 대표적으로는 utf8, euckr 그리고 utf8mb4가 있다. Collation이란, 정렬방식으로 저장된 텍스트 데이터를 정렬할 경우 어떻게 비교하여 정렬할 것인가에 대해 지정하기 위함이다. "ORDER BY 'text' ASC"에 대해 데이터로 a, b, A, B가 있을 경우 어떤 방식으로 비교하여 정렬을 할 것인가를 지정하는 것이다. 주로 많이 사용되는 ..
파라미터 설명 Docs URL https://dev.mysql.com/doc/refman/8.0/en/server-option-variable-reference.html MySQL :: MySQL 8.0 Reference Manual :: 5.1.4 Server Option, System Variable, and Status Variable Reference MySQL 8.0 Reference Manual / ... / MySQL Server Administration / The MySQL Server / Server Option, System Variable, and Status Variable Reference 5.1.4 Server Option, System Variable, and Status V..
■ 발생 이슈 ※ 최근 운영 중인 DB(Maria)서버에서 tmpdir 디스크가 100% 되어 DB가 내려갔습니다. [root@jhtest ~]# df -h Filesystem Size Used Avail Use% Mounted on devtmpfs 32G 0 32G 0% /dev 32G 4.0K 32G 1% /dev/shm tmpfs tmpfs 32G 3.1G 29G 10% /run tmpfs 32G 0 32G 0% /sys/ /dev/xvda 48G 0G 48G 100% / [root@jhtest tmpdir]# ll total 23461140 -rw-rw---- 1 mysql mysql 9322496 Oct 13 16:10 #sql_a4a_11.MAD -rw-rw---- 1 mysql mysql 2..
Master 서버로는 Read & Write 작업을하고 Slave 서버로는 Read 작업을하여 select 쿼리에 대한 부하분산 구성을 하고 sysbench를 이용해 부하테스트를 진행하여 ProxySQL 툴과의 성능 비교를 진행하였습니다. 읽기와 쓰기 분리 기술을 구현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읽기 및 쓰기가 분리된 lua 파일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파일은 mysql-proxy를 사용하여 읽기 및 쓰기 분리를 달성하는 데 사용해야 하는 파일이기도 합니다. 구문 분석을 위해 lua 파서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루아 파서를 설치해야 합니다. ■ config 파일 생성 [root@mysqlproxy mysql-proxy]# mkdir /usr/local/mysql-proxy/conf/ [root@..
MySQL proxy이란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MySQL의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의 통신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다. 기본적인 구성에서 클라이언트의 쿼리를 MySQL 서버로 전달하고 서버의 응답을 클라이언트에게 반환한다. 기본 구성 외에도 클라이언트와 서버간 통신을 모니터링하고 변경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에서 쿼리를 가로 채서 서버에 보낸 쿼리 목록에 추가 쿼리를 삽입하고 서버에서 반환 할 때 추가 결과를 제거 할 수 있다. proxy 서버를 구축 이유 보안 : 익명의 사용자가 서버에 직접 접근하는 것을 막는다. 속도 : proxy 서버는 사용자의 요청을 cache 해서, 동일한 요청이 들어오면 cache의 자원을 반환한다. 이는 서비스의 속도를 높여준다. ACL : 사이트 접근에..
PostGIS이란, 객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인 PostgreSQL의 확장 프로그램으로, 데이터베이스에 GIS(지리정보 시스템) 객체를 저장할 수 있게 해 줍니다. PostGIS는 GiST 기반 R-Tree 공간 인덱스를 지원하며, GIS 객체의 분석 및 공간 처리를 위한 기능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PostGIS를 사용하면 지리 정보 데이터를 다양하게 다룰 수 있습니다. 주요기능 : 공간 데이터 관리, 공간 데이터 연산, 분석, 공간 인덱스 지원 등 공간 인덱스란 특정의 좌표를 찍어 지도 내에서 무언가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해서 사용한다고 보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사용 예시 : 카카오 택시같이 지도내에 있는 택시를 검색해서 호출한다거나, 네이버 지도에서 식당이나 카페를 검색하는 것과 ..
phpMyAdmin 은 PHP로 개발 된 오픈소스이고, 웹 기반의 MySQL 관리 툴 입니다. 웹에서 편리하게 DB 관리를 해보기 위해 이번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 사전 mysql db설치 & httpd설치 mysql> select @@version; +-----------+ | @@version | +-----------+ | 8.0.28 | +-----------+ 1 row in set (0.00 sec) [root@myadmin ~]# yum -y install epel-release [root@myadmin ~]# yum -y install httpd ■ php 설치 ※ php설치할 당시 phpMyAdmin을 구동하기 위한 관련 패키지를 진행하지 않은 접속이 불가합니다. 따라서 나머지 php..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